맨위로가기

진주 우곡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우곡정은 고려 말 대사헌 정온이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1393년에 지은 정자이다. 정온은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 은둔생활을 하였으며, 태조가 사위 이제를 보내 불렀으나 장님 행세를 하며 거절하였다. 건물은 팔작지붕이며, 1849년과 1976년에 각각 중수되었다. 우곡정은 정온의 충절을 기리는 장소이자 역사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양 정씨 - 정국은
    정국은은 일제강점기 친일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반민특위에 체포되었고, 이후 간첩 혐의로 사형되었으며, 이 사건은 이승만 정부의 권력 투쟁과 관련되어 있다.
  • 진양 정씨 - 정상복
    정상복은 결핵 투병 중에도 예술혼을 불태우며 김환기, 이중섭 등과 교류하고, 통영중학교 미술 교사로 활동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고향인 통영에서 수채화 기법에 몰두하고 굴 수하식 양식법을 개발하는 등 수산업 발전에도 기여한 화가이자 수산 양식가이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진주 남악서원
    진주 남악서원은 김유신, 최치원 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1919년에 재건되어 경주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떠 남악서원이라 이름 지었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진주 우곡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진주 우곡정
이름진주 우곡정
한자 표기晉州 隅谷亭
진주 우곡정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65
지정일1983년 7월 20일
관리진양정씨문중
수량1동
문화재청 ID31,00650000,38

2. 역사

고려대사헌을 지낸 우곡 정온이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1393년(태조 2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은거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그는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태조가 회유하려 했으나 이를 거절한 일화가 전해진다. 이후 1849년(헌종 15년)에 중수되었고, 1976년에 다시 수리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1. 건립 배경

우곡정은 고려대사헌을 지냈던 우곡 정온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고향으로 돌아와 은거하기 위해 태조 2년(1393년)에 지은 정자이다.

정온은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며 은둔 생활을 하였다. 태조가 사위인 이제를 보내 회유하려 했으나, 정온은 왕명을 직접 거역하기 어려워 스스로 장님이라 칭하며 이를 거절했다. 이제가 사실 확인을 위해 솔잎으로 눈을 찔렀음에도 정온은 눈동자조차 움직이지 않아 그의 굳은 절개를 보여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는 우곡정 건립에 담긴 정온의 강직한 신념과 불사이군 정신을 잘 보여준다.

2. 2. 건립과 중수

우곡정은 고려대사헌을 지냈던 우곡 정온이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고향으로 돌아와 조용히 지내고자 1393년(태조 2년)에 지은 정자이다. 정온은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며 은둔 생활을 하였다. 태조가 사위인 이제를 보내 모셔가려고 하자,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라는 핑계를 대고 사양하였다고 전해진다.

이후 1849년(헌종 15년)에 고쳐 지었으며, 1976년에 다시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대문 밖 앞뜰에는 정온이 낚시하던 것으로 전해지는 연못이 예전의 모습대로 보존되어 있다.

2. 3. 이제와 관련된 일화

고려대사헌을 지냈던 우곡 정온은 조선 건국에 반대하여 관직을 버리고 고향 진주로 돌아와 우곡정을 짓고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신념을 굳게 지켰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정온의 명망을 듣고 그를 조정으로 불러 함께 일하고자 했다. 태조는 자신의 사위인 이제를 직접 보내 정온을 설득하도록 명했다. 하지만 정온은 새 왕조에 참여할 뜻이 없었다. 왕명을 정면으로 거역하기는 어려웠기에, 그는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 행세를 하며 이제의 제안을 정중히 거절했다.

이제는 정온의 말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근처에 있던 소나무 가지를 꺾어 날카로운 솔잎으로 그의 눈을 찔렀다. 그럼에도 정온은 미동도 하지 않았고, 눈에서는 붉은 피만 흘러내렸다고 전해진다. 이 일화는 고려 왕조에 대한 정온의 굳은 충절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오늘날까지 회자되고 있다.

3. 건축 양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구조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3. 2. 지붕

우곡정의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3. 3. 주변 경관

대문 밖 앞뜰에는 낚시하던 연못을 예전의 모습대로 보존하고 있다.

4. 현대적 의의

진주 우곡정은 고려 말 충신 우곡 정온이 조선 건국에 반대하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고자 했던 정신이 깃든 역사적 공간이다.[1] 태조의 회유를 거절하며 자신의 절개를 지킨 정온의 일화는 시대를 넘어 신념과 지조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한다. 또한, 1393년에 처음 지어져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정자 건물과 주변의 옛 연못은 그 자체로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역사 교육의 장으로서 의미를 가진다.[1]

4. 1.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

우곡정은 고려대사헌을 지낸 우곡 정온이 조선 태조역성혁명에 반대하여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고자 고향으로 돌아와 은둔하며 지낸 정자이다. 태조 2년(1393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이는 고려 왕조에 대한 정온의 충성심과 새 왕조에 협력하지 않으려는 그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정온은 태조가 사위 이제를 보내 자신을 회유하려 하자,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라 핑계를 대고 거절하였다. 이때 솔잎으로 눈을 찔러도 눈동자조차 움직이지 않았다는 일화는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그의 강직한 선비 정신과 충절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인물의 이야기는 우곡정에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더한다.

건축적으로 우곡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어 조선 시대 정자 건축의 양식을 엿볼 수 있다. 헌종 15년(1849년)에 고쳐 지어졌고, 1976년에 다시 수리하여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대문 밖 앞뜰에는 정온이 낚시를 즐겼다고 전해지는 연못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우곡정은 고려 말 조선 초 전환기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한 인물의 충절과 정신을 담고 있는 공간이자,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

4. 2. 불사이군 정신의 현대적 의미

정온은 고려 말 대사헌을 지냈으나,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며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그는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우곡정을 짓고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

태조는 정온의 충절을 높이 사 사위인 이제(李濟)를 보내 그를 조정으로 불렀다. 그러나 정온은 왕명을 직접 거역하기 어려워 스스로 장님이라 칭하며 앞을 보지 못한다는 핑계로 이를 사양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제가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솔잎으로 정온의 눈을 찔렀으나 그는 눈동자조차 움직이지 않았고 눈에서는 피만 흘러내렸다고 한다. 이는 자신의 신념과 절개를 지키기 위한 정온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는 일화로 평가받는다.

4. 3. 관광 자원으로서의 활용

고려대사헌을 지낸 우곡 정온이 조선 태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고향으로 돌아와 은둔 생활을 위해 1393년(태조 2년)에 지은 정자라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후 1849년(헌종 15년)에 고쳐 지었으며, 1976년에 다시 수리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우곡 정온이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키며 은둔했던 이야기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태조가 사위 이제를 보내 그를 불렀을 때,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라 핑계를 대고 거절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솔잎으로 눈을 찔렀으나 눈동자조차 움직이지 않았다는 일화는 그의 굳은 절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으며,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건축적으로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조선 시대 정자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또한, 정자 대문 밖 앞뜰에는 정온이 낚시를 즐겼다고 전해지는 연못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이야기와 함께 정자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